top of page

2023.11.2. (木曜日) “나그바nagba”(<길가메시 서사시> 제1토판 1-4행)

2023.11.2. (木曜日) “나그바nagba”

(<길가메시 서사시> 제1토판 1-4행)

내가 그 전에 듣도 보도 못한 아카드어를 전공할 줄은 꿈에도 몰랐다. 대개 유학을 가면, 자신이 한국에서 알던 분야를 심화하여 전공하는 것이 상례다. 나는 미국에 건너가 운좋게 스승을 만나 그 분야를 전공하였다. 아카드어는 히브리어, 아랍어, 에피오피아어와 동일한 어군에 속하는, 가장 오래된 셈족어다. 아카드인들은 고고학자들이 아직 찾지 못한 아가데Agade라는 지역에 기원전 26세기에 등장하였다. 기원전 33세기에 등장하는 그림문자가 등장하였으나, 이 문자를 창제한 사람들이 수메르인들은 아니다. 학자들은 그들을 원-유프라테스어 혹은 원-티그리스어라고 잠정적으로 부른다. 기원전 1만년경 빙하기기 끝난 후, 호모 사피엔스들은 농업을 발견하였다. 농업은 인류에게 관찰, 인내, 수고, 경이, 감사라는 덕을 선물해주었다. 조그만 씨를 심으면, 자연이 그 씨를 발아시켜 비, 바람, 태양 빛과 열고 담금질 한 후에, 가을이면 풍성한 곡식을 선물해 주었다.

기원전 26세기 우룩Uruk과 아부 살라빅Abu Salabikh과 같은 도시에서 최초의 수메르어라고 불릴만한 쐐기문자 토판문서들이 출토되었다. 이 문서들에는 수메르어가 아닌 아카드어도 등장한다. 예를 들어 u 혹은 –ma와 같은 단어는 수메르어가 아니다. 문맥을 보면, 이 단어들은 모두 접속사 ‘그리고; 그러나’ 혹은 ‘그러기 때문에’라고 번역할 수 있다. -u와 –ma는 아카드어에 등장하는 가장 흔한 접속사와 접속-전접어다. 우리는 아카드어가 수메르어와 마찬가지로 기원전 26세기경에 처음으로 등장했다고 추론할 수 있다.

나에게 아카드어의 신비함을 알려준 분이 있다. 나의 멘토이자 지도교수였던 존 휴너가르드다. 그는 당시 우가리트어, 타르굼 아람어, 아카드어 문법을 집필하면서 박사과정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는 고대 근동 문헌들을 누구보다고 가장 정확하게 읽고 해석하는 분이었다. 나는 그분의 제자가 되기 위해, 1988 가을 어느 날 고대근동학과가 있는 Semitic Museum 3층에 있는 그의 연구실을 찾았다. 박물관 바닥은 전체가 대리석이어서, 걸을 때 마다 금강제화 구두가 걸을 때마다 따박따박 소리를 냈다. 사람들이 얼마나 많이 다녔는데, 바닥이 고색창연한 회색으로 멋지게 닳아있었다. 그는 당시 게에즈Geez라고 불리는 고전 에티오피아어와 아카드어를 개설하였다. 게에즈 수강생은 세 명, 아카드어 수강생은 여섯명 뿐이었다. 당시 수학하던 동료들은 모두 고대근동학과가 있는 유수대학의 교수가 되었다. 그는 아카드어 문법 수업에서 <함무라비 법전>과 <길가메시 서사시>를 우리와 함께 읽고 번역하고 질문하였다.

아카드어를 배우려는 학생은 기원전 18세기에 기록된 함무라비 법전에 등장하는 쐐기문자와 그 당시 문법 소위 ‘고바빌로니아 문법’을 숙지해야 한다. 함무라비 법전에 등장하는 아카드는 가장 전형적인 아카드어 문법으로 고전 아카드어라고 불릴만하다. 예를들어 셈족어 명사에 등장하는 주격, 소유격, 목적격 어미인 –um, -im, -am를 온전하게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길가메시 서사시>는 기원전 14세기 소위 바빌론제국을 멸망시킨 ‘카사이트’라는 민족의 구마사제인 신-레케-우닌니가 수메르시대부터 내려오던 길가메시에 관한 모든 자료를 망라하여 각 토판이 320-330행으로 이루어진 12개 토판문서로 편집하였다. 제12토판은 수메르 토판에 대한 번역으로 실제 내용은 제1토판에서 시작하여 제11토판에 끝난다.

아카어로 기록된 토판문서를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한국어 혹은 영어로 번역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지금부터 3천4000년전에 기록된 단어의 의미를 오늘날 한국어나 영어로 일대일 대응하여 번역하는 시도는 기껏해야 오역이거나 반역이다. 하지만, 이 서사시는, 인류가 가진 가장 오래된 서사시로, 최초인류들의 염원과 희망이 담겨있다. 호모 사피엔스가 30만년전에 등장하였고 현생인류의 문화적인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가 4만년전에 등장하였다면, 이 서사시는 길게는 30만년, 짧게는 4만년동안 인류가 축적한 지혜가 담겨있다.

길가메시는 수메르 시대부터 이미 신적인 존재가 되어, 이상적인 군사영웅이자 동시에 사후세계 심판자가 되었다. 우르 III왕조 슐기Shulgi왕 (기원전 2029-1982)는 자신도 루갈반다와 닌순의 아들이며, 길가메시의 동생이라고 자칭하면서, 길가메시를 모든 왕들가운데 가장 뛰어난 왕으로 숭배하였다. 문명과 전쟁영웅인 길가메시는 셈족인들이 건설한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에서도 음유시인들은 궁정과 대상여행자들을 위한 선술집에서 노래를 불렀을 것이다. 수메르어로 기록된 서사시가 기원전 19세기경 바빌로니아어로 번역되어 정착되었다. 호전적인 아모리족속이 세운 고바빌로니아 제국은, 군사영웅으로 길가메니를 노래한다. 고대 바빌로니아 판돈은 ‘모든 왕들가운데 가장 뛰어난’(šūtur eli šarrī)라는 첫 구절로 회자되었다.

기원전 16세기 힛타이트 제국이 바빌론을 함락한 후에, 기원을 알 수 없는 카사이트인들이 바빌론에 정착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바빌론 문화를 흡수하여 자기 나름대로 발전시켰다. 이들은 바빌론시대 문헌들을 모아 필사하고 토판문서로 보관하였다. 기원전 15세기부터 11세기까지 고대 근동지방의 국제공영어가 아카드어였다. 이 국제공영어를 배우기 위한 아카드어 교재가 있었다. 그 교재가 바로 14세기경 카사이트 시대 구마사제였던 신-레케-우닌니(Sîn-lēq-uninni)가 12개 토판문서로 편집한 소위 ‘길가메시 서사시 표준 판본’이다. 길가메시 서사시가 적힌 토판문서들은 고대근동지역 전역에서 발굴되었다.

신-레케-우닌니가 편집한 소위 ‘표준 바빌로니아 판본’의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구마사제로서 편집자는 자신의 직업에 등장하는 특별한 단어를 사용하여 서사시 전체의 주제를 소개한다. 다음은 아카드어 원문에 대한 다섯 단계 해석이다: 첫째, 쐐기문자 원문을 적인 자역; 둘째, 자역을 아카드어 문법에 맞게 모음의 장단, 자음은 중복을 표시한 음역; 셋째, 원문을 번역한 영문번역; 넷째, 원문을 번역한 한글번역; 다섯째, 각 문장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붙인 의역을 싣는다. 내가 <요가수트라: 삼매품>을 번역할 때, 취한 번역방식이다. 그런 후에 이런 의역이 가능하게 만든 자세한 설명이 들어간 해설은 후에 첨가할 예정이다.

그러면 누가 영웅인가? 영웅은 다음 세 가지를 경험한 자다. 첫째, 영웅은 ‘심연’을 보고, 둘째, ‘모든 것’을 경험하고, 셋째 ‘만사’에 지혜로운 자다. 첫째 조건은 ‘심연보기’다. ‘나그바’nagba는 ‘심연’이란 단어에서 자신의 직업에 관련된 용어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EG의 후반부에 등장하는 불로초를 획득하기 위해 목숨을 내놓고 감행한 페르시아만 가장 깊은 곳을 상징하는 단어를 사용하였다, ‘심연’이란 의미의 아카드어는 ‘나그바’nagba’다. 나그바는 다음과 같은 의미다: 1) 점성술이나 천체에 관한 비밀스러운 토판문서; 2) 최초의 샘물이 터져 나온 바다의 가장 깊은 장소. 구마사제가 점을 칠 때, 희생양의 내장이나 심장의 모습을 보거나 천체의 움직임을 보고 현재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 한다. ‘나그바’를 구마사제가 점을 치기 위해, 섭렵해야하는 점성술과 관한 복잡한 문서이며 동시에 영생을 살고 있는 우트나피슈팀과 그의 아내의 도움으로 불로초의 위치를 파악하여, 뱃사공 우르샤나비가 데려간 페르시아만 한 가운데서, 몸이 바다위로 부상하지 않도록 다리아 작을 돌을 매달고 잠수하여 내려간 바다의 가장 깊은 곳, 그 바닥이 보이지 않는 장소인 무저갱無低坑을 의미한다.

심연을 본 자라야 영웅이 된다. 영웅은 인생의 굴곡을 경험한 자다. ‘인생의 굴곡’이라고 번역된 딘어 alkakāti는 기원전 2000년대 문학작품에서만 등장하는 단어다. 특히 신이나 귀신의 행동을 지칭하는 용어다. 신은 인간에게 역경과 고통을 주어, 인생을 배우게 만든다. 인생의 우여곡절을 겪어야, 만사에 지혜로울 수 있다. 1행과 3행, 2행과 4행이 평행문장이다. 3행에서만 ‘길가메시’라는 이름을 밝혔다. 우리는 이 평행문장을 통해, EG는 당시 음유시인들에 의해 불렸던 노래라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편집자는 ‘길가메시’이름을 1행에 넣지 않는 절제를 보였다. 자신의 최선이 경주될 수 있는 심연을 경험한 사람은 누구나 영웅이기 때문이다.


Comentarios


bottom of page